[베이비뉴스] 아이돌봄서비스 신청 3년 새 1.6배 급증... "아이돌보미 인력 부족"
페이지 정보
작성자 포천센터 작성일25-11-04 16:43 조회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지난 3년간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을) 국회의원이 성평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해 2일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2년 8만 6475가구였던 아이돌봄서비스 신청 가구 수는 2023년 12만 2729가구, 2024년 13만 9508가구로 3년 새 약 1.6배 증가했다.
신청 유형별로 보면, ‘시간제’ 이용은 2023년 6만 6515가구에서 2024년 7만 21가구로 소폭 늘었고, ‘일시·기관연계형’ 이용은 같은 기간 1만 7695가구에서 4만 6950가구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영아종일제’ 이용은 오히려 감소했다.
‘2022년 아이돌봄실태조사’(3년 주기, 응답자 3703명)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 시간대는 출근 시간(07~09시, 60.4%)과 퇴근 시간(17~19시, 99.6%)에 집중돼 있었다. 이는 아이돌봄서비스가 전일제보다는 어린이집·유치원 등 공적 보육기관과의 시간적 공백을 메우는 보완 서비스로 이용되는 비율이 높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 아이돌봄서비스의 평균 대기 기간은 32.8일(2024년 기준)로, 갑작스러운 돌봄 공백 발생 시 즉각적인 이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전국 아이돌봄센터는 232개소(직영 18개소 포함)이며, 활동 아이돌보미 수는 2만 9635명으로, 수요 증가에 비해 인력 확충이 시급한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 의원은 "유연근무, 재택·플랫폼 노동 등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환경에 따라 부모의 돌봄 형태도 다양화되고 있다"면서 "부모의 근무 형태와 가족구조 변화에 맞춘 맞춤형 돌봄 서비스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베이비뉴스(https://www.ibabynews.com)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을) 국회의원이 성평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해 2일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2년 8만 6475가구였던 아이돌봄서비스 신청 가구 수는 2023년 12만 2729가구, 2024년 13만 9508가구로 3년 새 약 1.6배 증가했다.
신청 유형별로 보면, ‘시간제’ 이용은 2023년 6만 6515가구에서 2024년 7만 21가구로 소폭 늘었고, ‘일시·기관연계형’ 이용은 같은 기간 1만 7695가구에서 4만 6950가구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영아종일제’ 이용은 오히려 감소했다.
‘2022년 아이돌봄실태조사’(3년 주기, 응답자 3703명)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 시간대는 출근 시간(07~09시, 60.4%)과 퇴근 시간(17~19시, 99.6%)에 집중돼 있었다. 이는 아이돌봄서비스가 전일제보다는 어린이집·유치원 등 공적 보육기관과의 시간적 공백을 메우는 보완 서비스로 이용되는 비율이 높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 아이돌봄서비스의 평균 대기 기간은 32.8일(2024년 기준)로, 갑작스러운 돌봄 공백 발생 시 즉각적인 이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전국 아이돌봄센터는 232개소(직영 18개소 포함)이며, 활동 아이돌보미 수는 2만 9635명으로, 수요 증가에 비해 인력 확충이 시급한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 의원은 "유연근무, 재택·플랫폼 노동 등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환경에 따라 부모의 돌봄 형태도 다양화되고 있다"면서 "부모의 근무 형태와 가족구조 변화에 맞춘 맞춤형 돌봄 서비스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베이비뉴스(https://www.ibabynews.com)











